쓸디로 시작했으나 현재는 업무로 유니티를 사용중이고 배우고있다.
게임개발쪽은 당연히 아니다.
AR콘텐츠를 만드는 것을 하게됨
전혀 생각에 없던것을 배우게 되었기때문에 알아보았을때 주로 3d에서 정점을 찍으신분들이 게임엔진까지 발을 넓히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나는 아님,, 그렇지만 내가 속한 회사의 방향성이기 때문에 공부하는 것은 마땅하다. 라고 스스로를 세뇌 시키기,,, 껄껄
에이전시에 다니기때문에 회사의 방향성은 곧 이쪽세상(?)의 수요가 점점 AR쪽으로 늘어가고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우선 나는 3d 아티스트로서 바라본 게임 엔진 이기때문에, 개발언어나 개발구조보다는
그래픽쪽에서 봤을 때, 어느게 좋을지 아니면 앞으로의 커리어를 생각하면 어떤 엔진이 나와 맞을지 알아보는 관점에서 보았다.
앞으로의 커리어라는건 사실 계획을 해도 뜻대로 흘러가지않은 경우가 많기때문에 다방면으로 살펴보았는데 그 첫번째는 역시 프리랜서를 할 때를 대비한 경제적인 부분이다.
1. 경제적인 부분으로 보았을때는
3d 프로그램으로 블랜더, 텍스쳐 프로그램으로는 퀵셀, 게임엔진은 언리얼
이렇게 삼대 환경을 사용하면 무료이다.
언리얼은 미국의 에픽게임즈에서 제작한 3d 게임엔진이다.
2015년도 부터 엔진의 완전 무료화 선언으로 지금까지 게임판매량 12억정도 이상의 제작자만 분기별 5%의 로열티 뿐이라고한다. (그냥 공짜라는뜻)
블랜더는 머 시작부터 무료였고
퀵셀은 작년말 에픽게임즈가 인수하고나서 언리얼과의 궁합이 엄청 좋아졌다.
유로 프로그램 섭스페인터와 비슷하지만 무료이며, 최근 스캔데이터와 물리기반 렌더링 페인팅에 강한 퀵셀 믹서 2020을 출시했다.
그러나 내가 현재 쓰고있는 환경은
3d프로그램은 마야,
텍스쳐는 섭스턴스 페인터,
게임엔진은 유니티임
유니티는 개인으로 쓰면 무료이긴하지만 위에 삼대 무료툴과 어느거 하나 겹치지않아서 슬프다..
나중에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배워둬야할것같음ㅠ 배움은 끝이없고,,
2. 두 프로그램의 강점부분으로 보았을때는
먼저 언리얼은 블루프린트라는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코딩한 줄없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장점임
https://docs.unrealengine.com/ko/Engine/Blueprints/GettingStarted/index.html
_블루프린트 소개문서이다.
또 마켓플레이스 라는 어셋시장에서 유/무료 블루프린트 어셋들을 다운받아 활용도 가능하다.
퀵셀 메가스캔도 인수해서 고품질어셋을 무료공개하는경우가 많다고...
https://www.unrealengine.com/ko/blog/featured-free-marketplace-content---october-2020
_언리얼엔진 사이트에 올라온 관련뉴스
유니티의 경우는 볼트라는 어셋으로 비주얼스크립팅을 대신해왔는데 작년에 자체제작 비주얼 스크립팅 툴로 셰이더그래프를 개발하면서 언리얼과의 격차를 줄이려고했다.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553434
_셰이더그래프 관련 뉴스
특히 유니티는 에셋스토어가 언리얼의 마켓플레이스보다 상당히 방대해서 없는게 거의 없다고한다.
결국 게임엔진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것(에셋)을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달려있는듯하다.
또 최근에는 HDRP, LWRP 등 새로운 3d개발환경을 내놓고 있기 때문에 아직 실무에 사용될 정도로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계속 업데이트하고있다.
아무튼 3d artist가 왜 겜엔진을 고민하고있냐면 수요가 그렇기 때문이다
완전 픽사나 디즈니같은 애니메이션을 꿈꾼다면 상관없을지도 모르겠다. 진짜 잘모르겠다
그러나 한가지 프로세스만 하는 스페셜리스트가 맞지않는 사람에겐 재밌는 작업을 다양하게 하는 제너럴로 활동하려면 게임엔진까지 하게될걸 ? 자기소개입니다
내가 어느쪽으로 가고싶은지 잘 살펴보고 잘 맞게 준비하면 좋겟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는입장에서 유니티는 레거시3d 환경도 잘 모르는데 LWRP/HDRP까지 생겨서 더 어렵다,, 하지만 언리얼이라고 더쉽거나 그렇지는 않을거같은 닉김적인닉김
오늘도 뚠뚠 개미는 뚠뚠 삽질을하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A CINEMA 4D 3d툴을 두가지 쓰는 것이 좋은 이유 (16) | 2020.01.30 |
---|